위키북스 출판사 이재현 저자님의 '절대강좌! 유니티' 책을 참고하여 필기한 내용입니다.
라이트 프로브
라이트매핑을 사용하여 실감 나는 조명을 표현해도 동적인 물체에는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없음
라이트매핑은 정적인 객체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
주인공을 보면 검은색으로 보임 이유는 주인공이 라이트매핑 대상이 아니기 때문
culling Mask를 사용하여 주인공에게만 조명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부자연스러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라이트 프로브 기능 사용
- 스테이지 조명이 있는 곳 주변에 라이트 프로브를 배치하고 라이트맵을 베이킹할 때 해당 라이트 프로브에 주변부의 광원 데이터를 미리 저장
- 라이트 프로브에 저장된 광원 데이터는 실행 시 근처를 지나치는 동적 객체에 광원 데이터를 전달하여 해당 객체의 색상과 보간시켜 실시간 조명 효과처럼 내는 방식
Light Probe Group
라이트 프로브를 생성하여 스테이지의 주인공을 밝게 만들기
STAGES 하위에 Light - Light Probe Group 을 선택하여 생성하고 y 값을 1.2 정도로 설정하여 모두 바닥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Light Probe Group 컴포넌트
- 라이트 프로브를 생성하고 배치하는 것
- 처음 만들어진 8 개의 노란색 구체가 각각 라이트 프로브
- 라이트 프로브는 항상 바닥 위에 위치해야 효과를 냄
버튼명 | 설명 |
Add Probe | 새로운 Light Probe를 생성 |
Delete Selected | 선택한 Light Probe를 삭제 |
Select All | 현재 씬 뷰에 있는 모든 Light Probe를 선택 |
Duplicate Selected | 선택된 Light Probe를 복제, 여러 개를 선택해 복제 가능 |
[Edit Light Probe] 버튼을 클릭하고 네 개의 버튼을 활성화 -> 에디트 모드로 변경
노란색 라이트 프로브를 클릭하여 개별적으로 이동
선택하면 노란색 라이트 프로브가 파란색으로 바뀜
Duplicate Selected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 8개의 라이트 프로브를 복사하고 아래와 같이 배치하고 다시 Select All
이런 과정을 거쳐 위와 같이 라이트 프로브를 배치한다.
스테이지 밖으로 빠져나간 프로브가 많다면 씬뷰를 top뷰로 변경한 뒤 드래그 하여 삭제한다.
라이팅 뷰에서 다시 베이크 해주고 실행하면 주인공이 조명에 따라 받는 색이 달라지는걸 볼 수 있다.
주인공 뿐만 아니라 몬스터도 보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chor Override
주인공 중앙에 있는 라이트 프로브는 주변의 4개 라이트 프로브가 조명값을 전달해주는 위치를 의미함 가운데 있는 프로브로 주변 빛이 모이는 것
Anchor Oerride 속성을 이용하여 보간되는 위치를 설정 할 수 있음
원하는 위치의 Transform을 연결하면 그 위치에서부터 텍스터 색상이 보간되기 시작함
하이러키 뷰에서 Player를 선택하고 head에 Anchor Override 속성에 연결하면 주변 라이트 프로브가 조명 값을 전달하는 위치가 머리쪽으로 변경됨
Anchor Override를 Head로 설정하면 조명 값을 머리쪽으로 변경됨
'Unity 강의 > Unity Course(2) - 절대강좌! 유니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Course 2] 13. 오클루전 컬링 (0) | 2024.06.29 |
---|---|
[Unity Course 2] 12. 씬 관리 (0) | 2024.06.28 |
[Unity Course 2] 11. 라이트매핑 및 라이트 프로브 (0) | 2024.06.26 |
[Unity Course 2] 10. 내비게이션 고급 기법 (0) | 2024.06.26 |
[Unity Course 2] 09. 레이캐스트 활용 (0) | 2024.06.26 |